전체 글20 210805 신문스크랩 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aver?mode=LSD&mid=sec&sid1=001&oid=119&aid=0002517806 현대차·기아 美 판매순항 비결은 '친환경차' [데일리안 = 박영국 기자]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 순항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, 그 배경으로 전기차(EV)와 수소전기차(FCEV), 하이브리드차(HEV) 등 친환경차의 약진이 꼽히고 있 news.naver.com - 현기차, 1~7월 미국 판매, 94만8723대, 전년대비 44.9% 증가 - 코로나 탈출 상승흐름 - 친환경차 시장 공략, 7월간, 미국 내 친환경차 판매 6만1133대 (전년대비 205.2% 증가) - 현대차 7월간 친환경차 4만1813대 판매 (전년대비 313.6% 증가) .. 2021. 8. 5. [반도체] 디스플레이는 또 왜.. - 반도체 대란이 디스플레이 부품까지 번지고 있음 - 가전업계도 공급처 다각화 등 대안 마련 필요 - 15일 트렌드포스, 디스플레이구동드라이버(DDI)의 올해 수요 대비 예상공급률은 1.1%(작년 1.7%)로 하락 전망 - 통상 수요 대비 공급률이 5% 이상 유지돼야 안정적 -> 현재 위태로움 - 공급 부족 원인 : 코로나19 이후 늘어난 노트북, TV 수요와 관련 - 업계에서는 DDI 공급이 올해 3분기까지 어려울 것으로 전망 - 국내 가전업계는 DDI가 일반 반도체보다 재고 관리가 수월해서 당장에는 문제 x - 향후 공급 대란 염두하여 재고관리 집중 - 파운드리 업체, 8인치 웨이퍼에서 수익성이 높은 CIS, PMIC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어 DDI 공급 차질 가능성 높음 - 게다가, 자동차 시스템용 .. 2021. 4. 19. [배터리] LG엔솔, 국내 배터리 최초 RE100 가입 - RE100 : 사용 전력의 100%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기업 그룹 - 국제 비영리 환경단체인 '클라이밋 그룸(Climate Group)'이 창설, 총 302개 기업 가입 - 국내 배터리사 중에는 LG엔솔이 처음 - 그 외 SK주식회사/SK텔레콤/SK하이닉스/SKC/SK실트론/SK머티리얼즈 등 6개사 가입 - LG엔솔, '2030년까지 사용 전력량의 100%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' 목표 - 모회사 LG화학의 '2050년까지 탄소중립성장' 과제의 일환 - 배터리사, 환경/인권 이슈에 민감, '지속가능한 공급망' 구축 - 테슬라, 채굴 과정에서 아동착취/인권침해가 있는 '분쟁광물'을 사용한 배터리 도입 금지 - LG엔솔, 2019년 배터리업계 최초 책임 있는 광물 조달 및 공급망 관리를 위한 글로벌.. 2021. 4. 19. [배터리] SDI, 초고내열 접착분리막 하반기 양산 - 16일, 삼성SDI, 내열 기능 강화한 분리막 양산 계획 발표 - 얇고 150도 내열 -> 용량 증가, 화재위험 감소 - 분리막 : 배터리 내부 양-음극간 접촉 방지 - poere를 통해 리튬이온(Li+)의 이동통로 역할 - 다양한 소재, 다양한 코팅방식(내열/접착) - 내열방식 : 고온에서 분리막 원단 필름에 세라믹 입자 코팅 - 분리막 원단 수축 억제 - 접착방식 : 극판과 분리막 원단 필름을 접착 - 안전성 향상, 셀 변형 방지 - 분리막 표면을 '세라믹 코팅', '바인더 코팅' 하는 MCS(Multi-layer Coated Separator) 기술 적용 - 분리막 표면 코팅 - 화재위험 감소, 코팅면 접착력 추가 - 내열 강화 - SDI, 분리막 코팅 기술 내재화로 경쟁력 확보 삼성SDI "초.. 2021. 4. 19. [기업] 삼성전자 1분기 실적, 역대급! 반도체는..? - 삼성전자의 2021-1분기, 매출 65조원, 영업이익 9.3조원으로 잠정 집계 - 지낸해 대비 매출은 17.5%, 영업이익은 44.2% 증가 - 미 오스틴 공장의 셧다운으로 DS부문의 실적은 악화되었지만, 스마트폰과 생활가전의 출하량 증가로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- 분기 매출 최대치였던 2020-3분기(66.9조원) 수준으로, 1분기 한청 역대 최대치 - 분기 영업이익은 2020-4분기(9.05조원) 보다 많아, 슈퍼사이클 2018-1분기(15.6조원)에 이어 두번째 - 잠정실적에는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음 - 증권가, 코로나 보복소비로 스마트폰과 생활가전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 - 4.15조원의 영업익 전망, 지난해(2.65조원) 대비 56% 증가 (갤럭시S21 조기출시와 판매 호조로 수익성.. 2021. 4. 8. [반도체] 이제는 미국까지..? 어쩌지 삼성..! 안그래도 기술 성장하느라, 수요 맞추느라, 채용하느라, 경영리스크 다루느라 정신 없는 삼성에ㅠㅜ 미국, 중국, 유럽까지 반도체 시장을 노린다는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. - 미국의 '반도체 굴기' 예고 - 인텔의 파운드리 재진출 /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지원책 / 마이크론-웨스턴디지털의 일본 키옥시아(舊 도시바메모리) 인수 추진 - 미국을 시작으로 미래산업 핵심인 반도체 생산을 더이상 외주하지 않겠다는 위기감 - 마이크론-WD의 키옥시아 인수 건이 경쟁체제를 가속화함 - 낸드 시장, 6 -> 4인체제가 되지만 미국업체의 덩치가 커짐 - 더군다나 미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- 총 2.25조달러(약 2542조원) 규모의 인프라 투자 계획 중 반도체 산업에 500억달러(약 56조원) 투입 발표 - CPU, GPU.. 2021. 4. 2. [반도체] TSMC, 3년간 113조원 투자;; 대만 TSMC가 향후 3년 간 반도체 생산 능력 확대에 약 113조원(1000억달러)을 투입한다고함. 이는 반도체 공급난 해소와 파운드리 시장점유율 1위 유지를 위한 전략. - TSMC, 올해 280억달러 투자 예정 - 투자 확대 계획은 반도체 공급난에 의한 수요 미충족의 영향 - 공장 100% 가동에도 수요를 못맞춤 - TSMC는 애플/퀄컴/엔비디아/AMD를 고객사로 두고 있음 - 이외도 수천여 명 채용 등 공격적 운용 - 2021-1분기 파운드리 시장점유 : TSMC - 56%, 삼성전자 - 18% -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할 예정, 생산 및 공정 기술 개발 -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 기대로 자동차 생산 증가 -> 차량용반도체 수요 폭증 - 그러나 서버, 모바일 등 IT 수요 .. 2021. 4. 2. [전기차] 전장부품 비중, 70% 까지? 독일 BMW, 수소전기차 개발 중. 수소차 분야 기술력 보유기업과 협력 중국 NIO, 대부분의 부품을 현지 조달. 차량용 네트워크 등 고도화 기술 분야에는 수입 고려 - 전기차 부품에서 기계 비중이 줄고 전장 비중이 최대 70%까지 늘어난다는 전망 - 전기차 부품 시장, 2025년까지 매년 30% 성장 예상 - 북미, 유럽 업체들의 한국 전장/배터리 기술에 대한 관심 증가 - 국내 부품사에 긍정적 - KOTRA, '미래 자동차 글로벌 가치사슬 동향 및 해외 진출전략' 보고서 발간 - 현재 30% 수준인 전장 부품, 70%까지 증가 예상 - 유망 부품 : e-모터 / 배터리 시스템 /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(ADAS) / 적응 현가장치 / 경량화 및 강화 플라스틱 소재 / 카메라 / 스크린 / 디스플레이.. 2021. 3. 30. [반도체]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 재가동!@! 드디어 삼성전자 미 오스틴공장이 6주 만에 재가동을 시작하였다. - 예상 시점보다 보름 이상 앞당겨져 매출 영향 또한 최소화될 전망. (magmat.tistory.com/7 참고) - 29일 현재, 오스틴 공장의 정상 가동 소식 - 이미 3월 초 부분 가동 시작, 생산 재개 -> 3월 말 생산량 셧다운 이전 수준 근접 - 2/16 가동 중단 후, 수일 내에 전력 및 용수 재공급. but, 재가동은 4월 중순 전망(2개월) - 공정은 단 몇 초만 멈춰도 정상 가동까지 최소 수일 이상 소요 (잔류 웨이퍼 상태 확인, 공정별 안전사고 가능성 차단) - 셧다운으로 인한 매출 감소폭 최소화, 오스틴 공장의 지난해 매출은 3.9조원 - 피해액 하루 100억원 규모로, 일각에선 1조원의 피해액도 예상 - 관계자 '예.. 2021. 3. 30.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