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artic.

210805 신문스크랩

by 12학번. 2021. 8. 5.

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aver?mode=LSD&mid=sec&sid1=001&oid=119&aid=0002517806

 

현대차·기아 美 판매순항 비결은 '친환경차'

[데일리안 = 박영국 기자]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 순항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, 그 배경으로 전기차(EV)와 수소전기차(FCEV), 하이브리드차(HEV) 등 친환경차의 약진이 꼽히고 있

news.naver.com

- 현기차, 1~7월 미국 판매, 94만8723대, 전년대비 44.9% 증가

- 코로나 탈출 상승흐름

- 친환경차 시장 공략, 7월간, 미국 내 친환경차 판매 6만1133대 (전년대비 205.2% 증가)

- 현대차 7월간 친환경차 4만1813대 판매 (전년대비 313.6% 증가)

- 현대 : 9종, 기아 : 4종

- 아이오닉(구형) : 1만 1441대, 니로 HEV : 1만 767대    // 1만대 이상 판매

 

 

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aver?mode=LSD&mid=sec&sid1=001&oid=003&aid=0010648182

 

SK이노, 배터리 사업 분할→10월 신설법인 출범 '속도낸다'

[서울=뉴시스] 최희정 기자 =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와 E&P(Exploration & Production·석유개발) 사업을 독립 회사로 각각 분할시켜 독자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. SK이노베이션은 지난 3

news.naver.com

- SK이노, 3월, 배터리(SK배터리)와 E&P(SK E&P) 사업 분할 (물적 분할)

- SK이노, '그린 포트폴리오 개발', 기업가치 제고 지주회사

- SK배터리 : 중대형배터리(전기차) /  BaaS / ESS,    SK E&P : 석유개발 생산·탐사 사업·CSS(Carbon Capture & Storage)

- 배터리 생산 능력(연간) : 40GWh(現) -> 85GWh(2023) -> 200GWh(2025) -> 500GWh(2050)

- 배터리 사업 분할 발표 후 장초 7% 주가하락

SK이노베이션 조직도

 

 

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aver?mode=LSD&mid=sec&sid1=001&oid=018&aid=0005004090

 

"4분기 삼성 QD-OLED 양산"…판 커지는 OLED TV 시장

[이데일리 신중섭 기자] 삼성디스플레이가 올 4분기 TV용 OLED(유기발광다이오드) 패널 ‘퀀텀닷(QD) 디스플레이’ 양산을 공식화하면서 OLED 시장의 판이 커질 전망이다. 삼성의 참전으로 현재 OLED

news.naver.com

- 삼디플, 4분기 TV OLED QD 양산 공식화

- LG디플 : WOLED(백색 광원), 삼디플 : QD-OLED(청색 광원)

- QD display, 아산 Q1라인, 월 3만장(8.5세대), 65인치 연 최대 100만대 수준

- 중소형 OLED 1위 -> 대형 OLED : 프리미엄 TV 시장 대응

- 2025년까지 시설 구축 및 연구개발에 13.1조원 투자

- 현재 TV시장 90%, LCD,  OLED TV 출하 증가 올해 610만대 예상(지난해 대비 70% 증가)

- 현 OLED TV 시장은 LG가 주도, 월 14만장(파주 8만, 광저우 6만)

*색 재현력, 시야각

 

 

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aver?mode=LSD&mid=sec&sid1=001&oid=011&aid=0003946560

 

용광로 없인 전기차도 없는데···검증 안된 기술로 "탄소 제로"

[서울경제] 탄소중립위원회가 철강 업계에 현재 운영 중인 용광로(고로)를 모두 전기로로 전환해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95%까지 줄이라는 급진적인 목표를 제시했다. 전기·수소차

news.naver.com

- 탄소중립위원회, 철강 고로->전기로 전환으로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95% 감소 목표 제시

- 전기·수소차 비중 97%, CCS로 5700~9500만 톤 탄소 흡수 계획

- 상용화 자체가 불확실한 미래 기술에 지나치게 의존, 기업에 부담을 떠넘긴다는 지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