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20 [기업] 삼성전자 1분기 실적, 역대급! 반도체는..? - 삼성전자의 2021-1분기, 매출 65조원, 영업이익 9.3조원으로 잠정 집계 - 지낸해 대비 매출은 17.5%, 영업이익은 44.2% 증가 - 미 오스틴 공장의 셧다운으로 DS부문의 실적은 악화되었지만, 스마트폰과 생활가전의 출하량 증가로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- 분기 매출 최대치였던 2020-3분기(66.9조원) 수준으로, 1분기 한청 역대 최대치 - 분기 영업이익은 2020-4분기(9.05조원) 보다 많아, 슈퍼사이클 2018-1분기(15.6조원)에 이어 두번째 - 잠정실적에는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음 - 증권가, 코로나 보복소비로 스마트폰과 생활가전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 - 4.15조원의 영업익 전망, 지난해(2.65조원) 대비 56% 증가 (갤럭시S21 조기출시와 판매 호조로 수익성.. 2021. 4. 8. [반도체] 이제는 미국까지..? 어쩌지 삼성..! 안그래도 기술 성장하느라, 수요 맞추느라, 채용하느라, 경영리스크 다루느라 정신 없는 삼성에ㅠㅜ 미국, 중국, 유럽까지 반도체 시장을 노린다는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. - 미국의 '반도체 굴기' 예고 - 인텔의 파운드리 재진출 /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지원책 / 마이크론-웨스턴디지털의 일본 키옥시아(舊 도시바메모리) 인수 추진 - 미국을 시작으로 미래산업 핵심인 반도체 생산을 더이상 외주하지 않겠다는 위기감 - 마이크론-WD의 키옥시아 인수 건이 경쟁체제를 가속화함 - 낸드 시장, 6 -> 4인체제가 되지만 미국업체의 덩치가 커짐 - 더군다나 미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- 총 2.25조달러(약 2542조원) 규모의 인프라 투자 계획 중 반도체 산업에 500억달러(약 56조원) 투입 발표 - CPU, GPU.. 2021. 4. 2. [반도체] TSMC, 3년간 113조원 투자;; 대만 TSMC가 향후 3년 간 반도체 생산 능력 확대에 약 113조원(1000억달러)을 투입한다고함. 이는 반도체 공급난 해소와 파운드리 시장점유율 1위 유지를 위한 전략. - TSMC, 올해 280억달러 투자 예정 - 투자 확대 계획은 반도체 공급난에 의한 수요 미충족의 영향 - 공장 100% 가동에도 수요를 못맞춤 - TSMC는 애플/퀄컴/엔비디아/AMD를 고객사로 두고 있음 - 이외도 수천여 명 채용 등 공격적 운용 - 2021-1분기 파운드리 시장점유 : TSMC - 56%, 삼성전자 - 18% -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할 예정, 생산 및 공정 기술 개발 -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 기대로 자동차 생산 증가 -> 차량용반도체 수요 폭증 - 그러나 서버, 모바일 등 IT 수요 .. 2021. 4. 2. [전기차] 전장부품 비중, 70% 까지? 독일 BMW, 수소전기차 개발 중. 수소차 분야 기술력 보유기업과 협력 중국 NIO, 대부분의 부품을 현지 조달. 차량용 네트워크 등 고도화 기술 분야에는 수입 고려 - 전기차 부품에서 기계 비중이 줄고 전장 비중이 최대 70%까지 늘어난다는 전망 - 전기차 부품 시장, 2025년까지 매년 30% 성장 예상 - 북미, 유럽 업체들의 한국 전장/배터리 기술에 대한 관심 증가 - 국내 부품사에 긍정적 - KOTRA, '미래 자동차 글로벌 가치사슬 동향 및 해외 진출전략' 보고서 발간 - 현재 30% 수준인 전장 부품, 70%까지 증가 예상 - 유망 부품 : e-모터 / 배터리 시스템 /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(ADAS) / 적응 현가장치 / 경량화 및 강화 플라스틱 소재 / 카메라 / 스크린 / 디스플레이.. 2021. 3. 30. 이전 1 2 3 4 5 다음